5. 배터리 및 메모리
◎ 배터리 및 메모리
배터리와
메모리의 부분은 각사가 사용하는 메모리와 지원하는
배터리에 따라 달라지게 되어 있다. 최근들어 컴팩트
플래쉬 메모리의 가격의 하락으로 메모리의 경우 안정적인
컴팩트 플래쉬를 사용하는 캐논 G2가 좀더 나은면을
보여주고 있다 할 수 있었다. 배터리의 경우 최대 2시간
30분을 사용할 수 있는 소니사 제품이 디지털 비디오와의
호환성 및 배터리 가격에서 좀더 나은 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었다.


캐논
PowerShot G2는 컴팩트 플래쉬 메모리를 저장매체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들어 컴팩트 플래쉬 메모리의 가격이
하락하여 스마트 미디어와 거의 비슷한 가격에 판매되고
있는 것을 볼 때에 가장 가격대 성능비가 높은 메모리라
생각이 되어진다. 이러한 컴팩트 플래쉬 메모리는 안정성이
높은편이며 고용량 제품들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4백만화소
CCD를 사용하는 제품에 보다 안성맞춤인 저장매체라는
생각이 든다. 캐논 G2의 경우 컴팩트 플래쉬 타입2
슬롯을 지원하여 IBM사의 마이크로 드라이브등 고용량
메모리를 지원하도록 하고 있어 메모리 사용의 유연성과
가격대 성능비가 가장 높은 제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구입시 32MB용량의 메모리를 제공하여 가장 많은 용량의
번들 메모리를 제공하는 것도 하나의 장점이라면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배터리의
경우 전용의 BP-511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용 배터리를 사용하여 약 2시간정도의 연속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소니 제품에 비해 배터리의
사용시간과 가격적인 부분에서 조금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구입시 전용 배터리 한 개와 충전용 AC 아답터를
기본 제공한다.


소니사의
디지털 카메라인 DSC-S85와 DSC-F707제품은 모두 동일한
배터리와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소니사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메모리와 배터리 수납부를 한곳으로
디자인하는 독특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소니사 디지털
카메라는 메모리스틱이라는 독자적인 방식의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메모리 스틱은 휴대와 메모리
안정성이라는 면에서 높은 점수를 줄 수 있으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배터리의
경우 전용 NP-FM50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NP-FM50배터리는 소니사 컴팩트형 디지털 카메라 제품들
및 디지털 비디오 제품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모델이기
때문에 호환성 및 가격적인 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시간에 있어서도 연속 2시간 30분으로 4백만
이상급 제품에서 가장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구입시 전용 배터리 한 개와 충전용 AC 아답터를
기본 제공한다.


올림푸스
C-4040Z은 저장매체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는 가장 저렴한 저장매체로
컴팩트 플래쉬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용
저장매체라고 할 수 있는데, 스마트 미디어가 가지고
있는 가격적인 잇점이 많이 사라진 현재에 있어서 불량율이
높고 고용량 제품이 없는 스마트 미디어의 효용성은
특히 4백만화소 이상의 고용량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환경에서는 약간 부적합하다는 느낌을 갖게도 한다.
배터리의
경우 범용의 AA형 건전지 4개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AA형 건전지의 경우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니켈수소 충전지를 사용하고 있는데, 전용 충전지에
비해 보다 가격적인 면에서 저렴하여 장시간 촬영의
경우 여러 세트의 배터리를 가지고 다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위의 제품들에 비해 약간 짧은
1시간 ~ 1시간 30분의 연속 촬영 시간을 가지며, 전용
충전기와 AC 아답터를 별매로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 구입가는 전용 충전지를 사용하는 제품에 비해
더 많이 지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6. 조리개 우선(피사계 심도),동영상
◎ 조리개 우선, 피사계심도
조리개
우선 모드에서 캐논 G2는 F2.0에서 F8.0까지, 올림푸스
C-4040Z은 F1.8에서 F10까지, 소니 DSC-S85와 F707은
F2.0에서 F8.0까지로서 올림푸스 C-3040Z이 조리개
범위가 좀더 넓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지원되는 셔터
속도가 1/800초로 타사 제품의 1/1000초에 비해 조금
적기 때문에 다양한 노출조합에서 얻어지는 조작의
부분에 있어서는 크게 차이가 없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아래의
이미지는 각 디지털 카메라의 조리개 수치를 달리하여
촬영한 이미지로 촬영 환경과 조건을 같게 설정하여준
것이다.
<올림푸스 C-4040Z>



F1.8
F5.0
F10.0
<캐논 PowerShot G2>



F2.0
F5.0
F8.0
<소니 DSC-S85>



F2.0
F5.0
F8.0
<소니 DSC-F707>



F2.0
F5.0
F8.0
아래의
이미지는 접사 촬영시와 일반 촬영시의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피사계 심도를 표현한 이미지이다. 접사 촬영시에는
접사 촬영 능력이 우수한 제품인 소니 DSC-F707과 DSC-S85그리고
올림푸스 C-4040Z이, 일반촬영시에는 초점거리가 긴
소니 DSC-F707이 우수한 결과물을 보여주었다. 특히
소니 DSC-F707은 5배 광학줌 상태에서 초점거리가 48.5mm에
달해 현재 출시된 컴팩트형 디지털 카메라 제품중에서
피사계 심도를 표현하기에 가장 우수한 제품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접사촬영시>


소니
DSC-F707 올림푸스
C-4040Z


소니
DSC-S85 캐논
G2
<일반촬영시>


소니
DSC-F707 올림푸스
C-4040Z
◎ 동영상
아직까지도
디지털 카메라에서 동영상 기능이란 사실상 부수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마음에 쏙
드는 그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은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다만 사용자의 사용상 보조적인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그중 가장 나은 기능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는 제품은 소니사 제품으로서 DSC-F707 / S85제품의
경우 가장 고화질인 320*240 HQ모드와 메모리의 용량이
다할 때 까지 연속 촬영이 가능한 MPEG Movie EX기능의
320*240모드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사용이 편리한
MPEG 1방식을 사용하는 것 또한 장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DSC-F707제품의 경우 4개 제품 중 유일하게
동영상 촬영중 광학줌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올림푸스
C-4040Z의 경우 기존 C-3040Z과 동영상 기능은 동일하였는데,
화질은 320*240 사이즈의 HQ모드와 160*120사이즈의 SQ모드의 두가지로 설정이 가능하다. 촬영된 파일은 MOV파일로 저장이 된다. HQ모드의
경우 연속 촬영 시간은 32초이며, 동영상
촬영중 광학줌기능은 사용할 수 없으며 다만 디지털 줌기능을 사용하여 촬영이 가능한데
화질의 경우에는 기존 C-3040Z제품에 비해 크게 나아진
것 같아 보이지는 않는다.
캐논 PowerShot G2의 경우 기존
G1제품에 비해 거의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G2의 동영상 촬영 기능은 연속 30초간 촬영이 가능하며 파일포맷은 AVI파일포맷으로 저장이 된다.
이렇듯 AVI파일로 저장이 되기 때문에 윈도우즈 기본
미디어 플레이어에서의 재생이 간편하다는 점이 있지만,
한가지 아쉬운 점은 촬영시 노출과
줌배율이 고정되어 버리기 때문에 밝은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카메라를 이동시켰을 때 이미지 결과물이 노출부족된 이미지로 촬영이 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촬영시 가급적 카메라를 이동시키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동영상 품질은 네 제품 모두 양호한 편이었으며 소니사의
320 HQ모드 사용의 동영상 품질이 가장 좋았다.
7. 연속촬영, 브라켓 촬영
◎ 연속촬영
연속
촬영 기능에 있어서는 올림푸스 C-4040Z제품이 좀더
우수한 연속 촬영 기능을 보여주었다.올림푸스 C-3040Z의 연속촬영 모드에서는 두가지 연사 모드가 있다. 첫째는 일반 연사 모드로 초당 약 2프레임의 고속으로 버퍼 메모리가
가득차기까지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두 번째로 AF 연속촬영 모드가 있는데. 이것은 연속촬영시 각 이미지의 초점, 노출, 화이트 밸런스를 따로 따로 맞추어 촬영, 저장하는 모드로
약 초당 1.2프레임의 속도로 역시 버퍼 메모리가 가득차기까지의 촬영이 가능하다. 이러한 AF 연속촬영 모드는 움직이는 물체를 촬영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며, 연사 간격또한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 제품의 연사 촬영 간격과 비슷하거나 약간 느린 정도여서 움직임이
많은 아이등의 피사체 촬영시 효과적인 촬영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캐논
PowerShot G2제품의 연속 촬영 기능은 기존 G1과 마찬가지로
이미지의 크기와 화질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는데 이것은
버퍼메모리에 저장되는 용량이 한정되기 때문에 고화질의
경우 약 1.2초당 한컷씩 4장의 이미지를, 최저화질에서는
초당 1매씩 약 45매의 이미지의 연속촬영이 가능하다.
캐논 G2는 이러한 약간 떨어지는 연속 촬영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고속 연속촬영 모드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 고속 연속촬영 모드를 사용할 경우 초당 2프레임의
고속 연속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소니
제품의 경우 기존 제품들이 연속촬영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보완하여 3매의 연속촬영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속촬영 기능은 아직까지는 좀 부족하는
느낌을 갖게 하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 브라켓 촬영
브라켓
촬영의 경우 네 기종 모두 브라켓 촬영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브라켓 촬영은 사용자가 사진 이미지를
촬영할 때에 카메라가 지시하는 적정 노출보다 노출을더
준 이미지와 덜 준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촬영하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올림푸스
C-4040Z의 브라켓 촬영은 가장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사용자는 +/- 1EV의 범위내에서
1장 혹은 5장의 브라켓 촬영을 할 수 있게 되는데,
+/- 1EV 5장의 브라켓촬영의 경우, -2 / -1 / 0 / +1
/ +2 EV의 촬영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촬영상의 간편함과 신속함에 있어서는 캐논 G2가 가장
나은면을 보여주고 있다. 캐논 G2의 경우 제품 후면의
멀티 펑션버튼을 통해 제어가 가능하며 원하는 브라켓
정도를 +/- 2EV까지 설정이 가능하다. 촬영 매수는
3매로 정해져 있지만 사용상 편리성은 캐논 G2가 가장
나은면을 보여주고 있다.
소니
DSC-F707, DSC-S85제품 역시 브라켓 촬영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상 편이성과 조작부분에 있어서는
위의 두 기종에 약간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브라켓
촬영 기능은 촬영 메뉴에서 조작할 수 있지만, 정작
브라켓 노출 범위의조작은 SETUP에서 설정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두 번의 조작이 필요한 불편함이 있었다.
◎ 측광모드
캐논
PowerShot G2제품은 기존 G1제품과는 달리 평균 측광
방식을 새롭게 탑재하고 있다. 그래서 평균 측광 /
중앙부 중점식 측광 / 스팟 측광의 세가지 측광방식을
지원하고 있다. 소니 DSC-F707제품역시 기존 소니사
제품들과는 달리 평균측광방식을 새롭게 탑재하고 있어
평균 측광 / 중앙부 중점식 측광 / 스팟 측광의 세가지
측광방식을 지원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올림푸스
제품은 기존 C-3040Z제품과 마찬가지로 iESP 평균측광
방식과 스팟 측광 방식의 두 가지 측광방식을 지원하고
있으며, 소니 DSC-S85제품은 소니사 전통적인 중앙부
중점식 측광 방식과 스팟 측광의 두가지 측광방식을
지원하고 있다.
8. ISO변경, 파노라마 촬영
◎ ISO 변경
CCD의
감도를 변경시켜 줄 수 있는 옵션 기능인 ISO 변경
기능에 있어서 캐논제품을 제외한 세 개 기종이 AUTO
/ 100 / 200 / 400의 4단계의 ISO설정이 가능하였으며,
캐논 G2제품은 여기에 ISO 50의 설정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이러한 캐논 G2의 ISO 50의 지원은 이미지 내의
노이즈를 보다 줄여주어 더욱 깨끗하고 섬세한 이미지를
재현하여 준다는 점에서 보다 나은 면이라 할 수 있다.
아래의
이미지는 각 카메라에서 ISO값을 변경하여 촬영하였을
때의 이미지의 노이즈 변화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ISO 50
캐논 PowerShot G2
ISO 100
캐논 PowerShot G2
올림푸스 C-4040Z
소니 DSC-S85
소니 DSC-F707
ISO 200
캐논 PowerShot G2
올림푸스 C-4040Z
소니 DSC-S85
소니 DSC-F707
ISO 400
캐논 PowerShot G2
올림푸스 C-4040Z
소니 DSC-S85
소니 DSC-F707
◎ 파노라마 촬영
올림푸스
C-4040Z제품과 캐논 G2제품은 파노라마 촬영 기능을 카메라 내에 갖추고 있다. 이러한 파노라 촬영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손쉽게 파노라마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파노라마 촬영 기능에 있어서 촬영 자체의 편이성은 올림푸스 제품이 약간 나아보였다. 하지만 올림푸스 C-3040Z제품은 올림푸스 전용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를 사용해야만 이러한 파노라마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또한 가지고 있었다. 파노라마 기능의 설정과 범용성이란 면에서는
캐논 G1제품이 더 나은 면을 가지고 있었다.
'자료실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0만화소이상의 디지털카메라 비교 4/4 (0) | 2002.12.24 |
---|---|
400만화소이상의 디지털카메라 비교 3/4 (0) | 2002.12.23 |
400만화소이상의 디지털카메라 비교 1/4 (0) | 2002.09.24 |
DV 편집 (0) | 2002.09.23 |
비디오 기초 (0) | 2002.09.22 |